"깊은 숲 속, 신비로운 안개가 자욱한 고대 사원"
이 키워드의 영문 프롬프트 작성 후 정교하게 다듬어줘 최상의 퀄리티 나오게 스튜디오에서 작업한것같은 프롬프트여야하고 비율은 16:9 4k화질 이상.
일단 프롬프트부터 완성해
구글 AI 스튜디오 통해서 프롬프트 생성.
"A highly detailed, cinematic wide-angle shot of a mysterious ancient temple nestled deep within an enchanted, dense forest. The temple is partially shrouded in ethereal, swirling mist that drifts gently through the trees and around its weathered stone architecture. The ancient stonework is intricately carved with faded, arcane symbols, covered in moss and ivy, suggesting millennia of solitude. Sunlight, diffused and dappled, filters through the thick canopy above, creating mystical rays of light that pierce the mist and illuminate specific parts of the temple. The surrounding forest features towering, ancient trees with gnarled branches and a rich undergrowth of ferns and exotic foliage. A sense of profound history, tranquility, and enigmatic wonder permeates the scene.
Technical Specifications:
Render Style: Hyperrealistic, photorealistic, cinematic masterpiece.
Lighting: Volumetric lighting, god rays, atmospheric, ethereal.
Color Palette: Moody, deep greens, earthy browns, soft grays, hints of faded gold from the light, subtle mystical blues/purples in the mist.
Composition: Rule of thirds, leading lines guiding to the temple, deep depth of field.
Details: Ultra-fine texture details on stone, leaves, and mist.
Studio Quality: Shot with a high-end cinema camera (e.g., Arri Alexa LF), professional studio production.
Aspect Ratio: 16:9
Resolution: 8K UHD
1. FLUX PRO
퀄리티 나쁘지 않으나 무료버전에서 1개만 생성됨.
2. leonardo AI
https://app.leonardo.ai/image-generation
무료버전에서도 4가지 이상의 이미지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볼 수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다.
이미지 세부조정은 바로 유료결제 해야함..
3. FLUX Playground
애매하게 말하면 못알아들음
자세하게 말해도 오류가남..
여전사의 의미가 꽤나 상상하는것과 다름. 편견없는 ai..
4. Whisk
https://labs.google/fx/ko/tools/whisk/
Whisk - labs.google/fx
labs.google
가장 찰떡같이 알아들음.
whisk가 현재로서는 가장 원하는 이미지 생성하기 좋은듯
추가적으로 써보고 후기 남겨야겠다.
반응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이미지 생성 툴 LMArena 나노 바나나 이미지 생성 후기 (2) | 2025.08.25 |
---|---|
피그마 신규 기능 런칭! Figma Make & Site vs Framer vs Cursor 비교 분석 (3) | 2025.06.05 |